수상 · 선정도서

조선 전기 도자사

조선 전기 도자사

지은이: 김영원

분야: 역사·철학·종교

발행일: 2011-08-20

ISBN: 978-89-337-0614-5

페이지수: 346쪽

판형: 크라운판 변형(16

가격: 35,000원

수상: 2012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우리나라 역사상 유일한 관요官窯였던 분원分院 설치 전후로 살펴본 조선 도자의 양식과 요업체제

■ 새롭게 시도된 조선 전기 도자사 시기구분


조선시대 도자사 연구의 중요한 주제 가운데 하나는 관요官窯였던 사옹원司饔院 분원分院에 관한 문제이다. 우리나라 역사상 유일한 관요였던 분원은 조선 전기에 경기도 광주廣州에 설치되어 조선 도자 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조선 전기의 도자는 분원 설치를 전후로 도자양식과 요업체제에 큰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이 책은 조선시대 도자사를 꾸준히 탐구해온 저자의 연구 성과를 담고 있는 조선 전기 도자사에 대한 연구서이다. 저자는 관련 문헌사료를 통해 분원의 설치 시기를 규명하고, 분원의 설치에 따른 도자양식과 요업체제의 변화를 추적한다. 분원이 설치된 시점을 기준으로 한 조선 전기 도자사 시기구분은 저자가 처음으로 제시한 방법으로 어떤 시기구분과도 차별화되는 새로운 시도이다. 저자는 조선 전기 도자사를 '분원의 설치'(세조 13년경, 1467년경)를 기준으로 전기와 후기로 나눈다. 전기는 '관청명의 기입'(태종 17년, 1417년)을 기준으로 다시 1, 2기로 나누고, 후기는 '도자 관련 정책 부재로 인한 관요 경영의 불성실'(인종 연간, 1544~1545)을 기준으로 3, 4기로 나눈다. 이와 같은 시기구분을 토대로 저자는 조선 전기 도자사에서 중요한 양대 산맥을 이루는 분청사기와 백자의 양식적 특징과 성쇠 양상, 명 자기와의 공통점과 차이점 등 15~16세기 도자기만의 특징을 규명한다.

■ 분원의 설치를 중심으로 한 다각적 연구 검토


이 책은 저자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을 주로 하고(제1부), 관련된 중요 논문 두 편(제2부)을 추가한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 저자는 기존의 조선시대 도자기와 분원에 관한 연구가 분원의 변천에 따른 조선 백자의 양식 변화만을 위주로 한 것이었음을 지적하며 한 시대에 공존했던 도자양식의 상호 연관 관계나 도자 수요 계층의 선호 경향, 도자의 수급체계, 도자 관련 정책 등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 검토가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조선 전기에 분원이 설치됨으로써 수반된 사회적 상황들, 분청의 쇠퇴와 소멸시기, 분청사기와 백자의 상대적인 성쇠 관계를 등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있다. 저자는 도자양식의 변천에 대한 고찰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확실한 전거가 되는 도자 관련 문헌사료를 면밀히 분석, 검토하는 방식으로 논지를 전개해나간다. 특히, 많은 명문 예를 남기고 있는 도자 유물과 관련 문헌사료 등을 비교 고찰해 조선 전기 도자사에 대한 진정한 규명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은 이 책의 가장 큰 강점이다.
제2부에는 조선 전기 도자양식 연구에 절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공주 계룡산 학봉리 가마터와 광주 무등산 충효동 가마터에 관한 논문이 실려 있다. 저자는 계룡산 학봉리 가마터에서 발굴된 분청사기를 통해 조선시대 분청사기의 특색과 미학을 살펴보고, 무등산 충효동 가마터에서 발굴된 분청사기와 백자 등의 다양한 명문 예를 통해 조선시대 도자의 양식 변화와 편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 국립문화재연구소장, 저자 김영원의 학문적 토양이 담긴 연구서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과 역사부장을 거쳐, 국립공주박물관장, 국립제주박물관장, 국립전주박물관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등을 역임하고, 현재 국립문화재연구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는 저자 김영원은 도자사를 평생 공부로 삼아온 학자인 동시에 젊은 시절부터 한국 문화재 현장의 최일선에서 일해온 현장 전문가이기도 하다.
이 책은 그런 저자의 박사학위논문에서 출발한 것인 만큼 저자의 학문적 토양을 담고 있으면서도 조선 전기 도자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는 연구서이다. 또한 조선시대 도자사 연구에서 절대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광주 분원, 충효동 가마터, 학봉리 가마터 등을 직접 발굴하고 조사한 경험을 가진 저자의 연구서답게 조선 전기 도자를 실질적으로 이해하는 데도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단순히 도자기를 종류별로 설명하는 일반 개설서를 뛰어넘어 새로운 시각에서 조선 전기 도자기를 입체적으로 소개한 연구서로 그 가치가 높은 책이다.

머리말


제1부 조선 전기 도자의 연구
서론
제1장 _ 조선 전기 도자사 시기구분
Ⅰ 기존 학설
Ⅱ 새 시기구분


제2장_ 분원의 설치
Ⅰ 설치 의의
Ⅱ 설치 배경
1. 국내 배경
(1) 조선 초 소所의 소멸과 도자 수요의 증가
(2) 왕실에서 금은 기명 사용 제한에 따른 백자 수요의 증가
(3) 국가의례용 백자 수요의 증가
(4) 대명관계에 소용되는 백자의 증가
(5) 왕실 내 청화백자 사용 욕구의 팽배
(6) 관요가 광주에 설치된 배경
2. 대외 배경
(1) 조선왕실에 전래된 명 청화백자의 영향
(2) 조선왕실에 전래된 명 청화백자의 양식
Ⅲ 설치 시기  

 

제3장_ 분원 설치 이전의 공납자기
Ⅰ 1기(1392∼1417년경)의 공납자기
1. 문헌적 고찰
(1) 1392∼1400년경(태조∼정종 연간)
(2) 1400∼1417년경(태종 즉위년∼태종 17년경)
2. 도자양식
(1) 분청사기
(2) 인각백자
Ⅱ 2기(1417∼1468년경)의 공납자기
1. 문헌적 고찰
(1) 1417∼1450년경(태종 17년경∼세종 연간)
(2) 1450∼1468년경(문종∼세조 연간)
2. 도자양식
(1) 1417∼1450년경(태조 17년경∼세종 연간)
(2) 1450∼1468년경(문종∼세조 연간)  

 

제4장_ 분원 설치 이후의 진상자기
Ⅰ 3기(1468∼1544년경)의 진상자기
1. 문헌적 고찰
(1) 1468∼1494년경(예종∼성종 연간)
(2) 1494∼1506년경(연산군대)
(3) 1506∼1544년경(중종 연간)
2. 도자양식
(1) 상감백자
(2) 청화백자
(3) 순백자
(4) 분청사기
Ⅱ 4기(1544∼1592년경)의 진상자기
1. 문헌적 고찰
(1) 1544∼1545년경(인종 연간)
(2) 1545∼1592년(명종∼선조 25년)
2. 도자양식
(1) 청화백자
(2) 순백자
(3) 철화백자
(4) 분청사기
결론
영문초록

제2부 조선 전기 가마터
분청사기의 보고, 계룡산 학봉리 가마
1. 머리말-분청사기, 백토와 추상의 미학
2. 계룡산 학봉리 가마터와 출토 자기
3. 계룡산 학봉리 가마터 발굴 역사, 1927년부터 2007년까지
4. 계룡산 학봉리 도자기, 동화와 추상의 세계
5. 학봉리 가마의 운영시기
6. 맺음말-한국 도자사에서의 계룡산 학봉리 가마  

영문논고  

 

광주시 무등산 충효동 가마터 발굴 성과와 그 의의
1. 머리말
2. 발굴과 보고서 작성 경과
3. 유구 노출 상황
4. 출토 유물의 종류와 특징 및 명문 예
(1) 출토 유물의 종류와 특징
(2) 명문 예
5. 가마의 운영시기
(1) 1호 가마
(2) 2호 가마
(3) 3호·4호 가마
6. 발굴자료 해석에 관한 몇 가지 문제점
7. 발굴 성과와 의의
(1) 도자양식과 편년
(2) 요업체제와 수급체계의 변화
8. 맺음말

영문논고  

 

참고문헌
도판목록
찾아보기 

저자 김영원(金英媛)은 서울대학교 고고학과와 동 대학원(문학박사)을 졸업했다.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과 역사부장을 거쳐, 국립공주박물관장, 국립제주박물관장, 국립전주박물관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등을 역임했다. 현재 국립문화재연구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조선 백자』(대원사, 1991),『조선시대 도자기』(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제1회 고유섭 학술상),『도자공예』(공저, 솔출판사, 2005),『고려 왕실의 도자기』(공저, 국립중앙박물관, 2008),『계룡산 도자기』(공저, GNA커뮤니케이션, 2007, 국립중앙박물관 학술상) 등이, 번역서로는『중국도자사』(열화당, 1986, 제14회 오늘의 책)가 있다. 논문으로는 「朝鮮朝 印花文 粉靑沙器의 樣式分類」, 「朝鮮前期 粉靑과 象嵌白磁에 관한 硏究」, 「朝鮮靑磁에 관한 再考察」, 「世宗 연간의 陶磁에 관한 考察」, 「세조-성종 연간의 分院의 設置와 陶磁樣式의 변천」, 「朝鮮時代 窯業體制의 變遷」, 「조선 전기 도자의 대외교섭」, 「高麗茶碗의 起源的 窯址와 樣式 考察」,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中國陶磁의 內容과 性格」, 「비안도 해저 출토 고려 청자의 연구」 등이 있다.

 

한국고대 불교조각사 연구(신수판)

김리나

고려시대 불교조각 연구

최성은

미륵과 도솔천의 도상학: 『佛說觀彌勒菩薩上生兜率天經』에 근거하여

고혜련

  • 교보문고
  • yes24
  • 인터파크도서
  • 알라딘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