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도서

전기 중고음: <세설신어> 대화문 용자의 음운대립

전기 중고음: <세설신어> 대화문 용자의 음운대립

지은이: 이승재

분야: 어학·문학

발행일: 2018-08-01

ISBN: 9788933707456

페이지수: 552쪽

판형: 152×224mm

가격: 50,000원

수상: 2019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漢字音으로 본 백제어 자음체계, 漢字音으로 본 고구려어 음운체계(2017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木簡에 기록된 古代 韓國語(2018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등 고대 한국어 연구에 매진해 온 이승재 서울대 교수가 이번에는 魏晉南北朝 시기의 漢語를 대상으로 새로운 연구서를 발표하였다.

지은이는 漢字音으로 본 백제어 자음체계漢字音으로 본 고구려어 음운체계를 통해 새로운 연구 방법을 개발해 왔다. 그 과정에서 한국, 일본, 베트남의 고대 한자음뿐만 아니라 위진남북조에서 북송까지의 漢語音을 연구할 때에도 동일한 연구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前期 中古音: 世說新語對話文 用字音韻對立劉宋 시대 劉義慶(403444)이 지은 일화집 世說新語의 대화문에 사용된 用字를 지은이의 연구 방법을 사용해 음운론적으로 분석하여 5세기 전반기 漢語音韻體系를 재구하는 데에 목적을 둔 책이다.

 

한어 중고음은 보통 前期 중고음과 後期 중고음으로 나뉘는데 위진남북조 시기는 전기에, 북송 시기는 후기에 해당한다. 漢語史를 기술할 때에 後漢末까지를 한어 상고음 시기라 하고 魏晉 시기에 중고음이 시작된다고 보는 견해가 많다. 2세기 후반기와 3세기 초엽은 한어가 급격히 변하는 시기이다. 3세기 초로부터 7세기 초엽까지를 우리는 전기 중고음 시기라고 부르는데, 딱 중간에 오는 시기가 5세기 전반기이다. 따라서 세설신어의 대화문 용자는 시기적으로 전기 중고음 시기의 한어를 대표할 수 있는 자료이다. 세설신어에는 직접화법의 대화문이 많이 나온다. 구어체 한어가 많이 쓰였으므로 위진남북조 시기의 한어가 그대로 반영된 문헌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지은이는 왜 5세기 전반기의 세설신어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는가? 이 질문에는 두 가지로 나누어 답할 수 있다. 첫째는 前期 중고음에 대한 연구가 불충분하기 때문이요, 둘째는 한국의 古代 한자음이나 일본의 吳音이 이 전기 중고음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한국, 중국, 일본을 통틀어 세설신어대화문의 용자를 음운론적으로 연구한 업적이 전혀 없다. 이는 切韻系 韻書만 분석해도 魏晉南北 시기의 한어 중고음을 충분히 연구할 수 있다고 생각했고, 용자를 음운론적으로 분석하는 연구 방법론이 부재했기 때문이다. 지은이는 全數調査를 통하여 대화문 용자의 전체 집합을 구한 다음에, 이들 용자를 음운론적으로 상호 대비함으로써 음운대립의 성립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고 본다. 이때에는 상보적 분포의 여부와 최소대립 쌍의 유무가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된다. 이 책에서 지은이는 이 보편적 연구 방법이 漢語 音韻論에도 무리 없이 적용된다는 것을 논증해 보인다. 그리하여 이 분석 방법이 언어학적으로 유의미할 뿐만 아니라 경험적 타당성을 갖춘 것임을 증명하고자 한다.

 

5세기 전반기의 전기 중고음은 한국의 古代 한자음이나 일본의 吳音을 연구할 때에도 핵심적 역할을 담당한다. 현존하는 자료를 기준으로 삼으면 고대 한국에 한자가 대량으로 유입된 시기는 45세기이다. 백제가 일본에 하사한 七支刀銘文372년에 작성되었고, 廣開土大王碑가 제작된 시기는 414년이다. 따라서 고구려나 백제가 한자를 대량으로 수용한 시기를 4세기 말엽이나 5세기 초엽이라 할 수 있는데, 마침 세설신어가 반영하는 언어가 바로 이 시기의 한어이다. 이 시간적 일치를 고려하면 고구려나 백제의 한자음을 연구할 때에 세설신어의 대화문 용자보다 더 좋은 자료가 없다.

일본의 吳音을 연구할 때에도 대화문 용자 상호 간의 음운대립은 핵심적 역할을 담당한다. 일본 한자음 중에서 가장 古層에 해당하는 것이 吳音인데, 그 모태가 36세기의 전기 중고음이라 하고 백제를 거쳐 수용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세설신어의 대화문 용자는 오음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더욱이 劉義慶의 출신지가 지금의 江蘇省 銅山縣이므로 한어의 吳音이 분포했던 지역이다. 따라서 일본 吳音의 모태를 추정할 때에는 이 대화문 용자가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최상의 자료가 된다.

따라서 이 책은 새로운 연구 방법을 이용해 실질적인 연구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중국어, 한국어, 일본어를 언어학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중요한 이정표이자 세 언어를 잇는 가교가 될 것이다

<머리말> 拙政園의 연꽃 하나

 

1. 서론

 

2. 世說新語對話文 用字

2.1. 세설신어劉義慶

2.2. 세설신어의 대화문

2.3. 대화문 용자

 

3. 대화문 용자의 音韻對立

3.1. 대화문 용자의 음가 표시

3.2. 최소대립 쌍

3.3. 분포 분석표

 

4. 聲母

4.1. 脣音

4.1.1. 明母微母

4.1.2. 幇母非母, 滂母敷母, 並母奉母

4.2. 舌音

4.2.2. 端母知母, 透母徹母, 定母澄母

4.3. 齒音 마찰음

4.3.1. 心母邪母, 生母, 書母常母

4.3.2. 치음 마찰음의 음운대립

4.3.3. 書母常母羊母

4.4. 齒音 파찰음

4.4.1. 치조음인 精母, 淸母, 從母

4.4.2. 권설음인 莊母, 初母, 崇母

4.4.3. 구개음인 章母, 昌母, 船母

4.4.4. 전청인 精母, 莊母, 章母

4.4.5. 차청인 淸母, 初母, 昌母

4.4.6. 전탁인 從母, 崇母, 船母

4.4.7. 치음 파찰음의 음운대립

4.4.8. 치음 유성 마찰음과 유성 파찰음의 음운대립

4.5. 牙喉音

4.5.1. 아음인 見母, 溪母, 群母, 疑母

4.5.2. 아음과 후음의 구별 여부

4.5.3. 후음인 影母, 曉母, 匣母, 云母

4.6. 子音體系

4.6.1. 성모의 계량적 점유 비율

4.6.2. 성모의 음운론적 분석

4.6.3. 5세기 전반기 한어의 자음체계

4.6.4. 대화문 용자 집합과 자음체계

 

5. 韻母

5.1. /-ø/ 운미인 섭

5.1.1. 果攝假攝

5.1.2. 遇攝

5.1.3. 止攝

5.1.4. /-ø/ 운미 종합

5.2. /-u/ 운미인 섭

5.2.1. 效攝

5.2.2. 流攝

5.2.3. /-u/ 운미 종합

5.3. /-i/ 운미인 섭

5.3.1. 거성운모인 蟹攝

5.3.2. 순수 蟹攝

5.3.3. /-i/ 운미 종합

5.4. /-ŋ, -k/ 운미인 섭

5.4.1. 通攝江攝

5.4.2. 宕攝曾攝

5.4.3. 梗攝

5.4.4. /-ŋ, -k/ 운미 종합

5.5. /-n, -t/ 운미인 섭

5.5.1. 山攝

5.5.2. 臻攝

5.5.3. /-n, -t/ 운미 종합

5.6. /-m, -p/ 운미인 섭

5.6.1. 咸攝深攝

5.6.2. /-m, -p/ 운미 종합

5.7. 母音體系

5.7.1. 韻母 종합

5.7.2. 음절구조제약

5.7.3. 운복 모음의 분포

5.7.4. 모음체계와 활음체계

5.7.5. 대립 성립의 요건 검증

 

6. 결론

 

참고문헌

中文摘要

<부록> 대화문 용자와 그 음가 표시

찾아보기 

이승재(李丞宰)

 

1955년 전남 구례 출생.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문학사, 동 대학원 문학석사 및 문학박사.

전북대학교와 가톨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교수로 재직 중.

高麗時代吏讀, 50권본 화엄경 연구, 방언 연구, 角筆口訣解讀飜譯(공저, 5), 漢字音으로 본 백제어 자음체계, 아이마라어 어휘(공저), 아이마라어 연구(공저), 漢字音으로 본 고구려어 음운체계, 木簡에 기록된 古代 韓國語22권의 저서(공저, 편저 포함)120여 편의 논문을 발표.

 

목간에 기록된 고대 한국어

이승재

한자음으로 본 고구려어 음운체계

이승재

상대 일본어의 음운체계 ― 만요가나의 차용음운론

이승재, 강인선

  • 교보문고
  • yes24
  • 인터파크도서
  • 알라딘
  • 11번가도서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