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 · 선정도서

중국 구비연행의 전통과 변화―고사계강창 연구(1644~1937)

중국 구비연행의 전통과 변화―고사계강창 연구(1644~1937)

지은이: 이정재

분야: 역사·철학·종교

발행일: 2014-09-19

ISBN: 978-89-337-0683-1 93910

페이지수: 460쪽

판형: 신국판

가격: 33,000원

수상: 2015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중국 구비연행을 대표하는 고사계강창에 관한 최초의 본격 연구서!
이 책은 중국 구비연행의 전성기를 대표하는 장르인 고사계강창鼓詞系講唱을 다루고 있다. 고사계강창은 청나라 시기에 고사鼓詞나 대고大鼓라고 불리며 산동, 하북 등의 북방에서 성행한 구비연행과, 북경, 상해 등지에서 출판 또는 필사된 문학적 상관물을 포괄하는 명칭이다. 서강대 인문과학연구소의 인문전간 시리즈 중 51번째로 발간된 이 책은, 지은이인 서강대 중국문화학과 이정재 교수가 청나라가 성립한 1644년부터 중일전쟁이 발발한 1937년 사이에 나타난 고사계강창의 전모를 오랫동안 추적하고 연구한 결과물이다.



고사계강창에 주목하는 이유
인류가 언어로 의사소통을 시작한 이후 각 나라마다 독특한 구비연행의 전통이 나타났다. 중국에도 폭넓은 구비연행의 전통이 존재해왔으며, 청나라 때에는 고사계강창이 화북지역의 농촌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청 말에는 많은 고사계강창 예인들이 사회적 변화에 따라 북경, 상해, 제남 등의 대도시로 이주했고, 그곳에서도 고사계강창은 중요한 대중 오락으로서 인기를 얻었다. 이 예인들과 작품들은 문맹층까지 포함된 광범위한 청중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공연에서 다루는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에 대한 평가와 관점이 대중의 역사 인식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이들의 공연을 필사하거나 새로 창작한 작품들도 청 말에 종류와 수량이 매우 많아졌다. 그처럼 강력한 문화적 영향력을 지녔던 청대 공연문학에 대하여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시문詩文의 전통이 강한 중국의 주류 문화계에서는 이러한 공연이나 책자, 그리고 예인들이 전통적으로 가치 있는 문화로 대접받지 못했다. 시문 위주의 문인문학만으로는 중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불균형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통속문학 혹은 대중문학에 대한 합당한 관심과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전통시대에서 근현대로 바뀌는 격변기 속에서 청나라의 공연문학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그리고 오늘날에는 어떠한 모습으로 이어지고 있는지를 살피기 위해서도 청나라 공연문학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최근 국내외에서 중국 구비연행 문화에 대한 학문적 성과들이 조금씩 나오고 있는 지금, 이 책은 중국문화 연구에 관한 하나의 디딤돌이 될 것이다.



이 책의 구성
중국의 구비연행이 가장 성했던 시대는 청나라 때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약 3백 년 동안이지만, 이 시대의 구비연행은 제대로 연구되지 못했다. 그 이유는, 기존의 문사철文史哲에 비해 학문으로 다루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정립하기가 힘들고, 현장 자료가 너무 많은 반면 그것을 수집하고 정리하기는 어려웠기 때문이다. 지은이는 방대한 자료 수집과 현장조사를 통해 고사계강창의 전체 면모를 파악하는 한편, 새로운 개념 틀을 제시하여 계열화하고 분리하는 작업을 통해 고사계강창의 각 종류가 발생하고 변천한 역사를 구체적으로 재구성하고 있다.
제1부에서는 고사계강창의 개념을 설정하고 관련 강창문학의 역사적 전개 과정, 고사계강창이 형성된 시대의 전통을 살핀다. 제2부에서는 고사계강창의 전통이 형성되고 확립된 청 초 산동 지방의 작품들과 함께 작자, 문학적 특성, 공연 방식 등을 상세히 다루었다. 특히 이 작품들 가운데 일부는 그간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작품들이어서 이들에 대한 논의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제3부에서는 청 말 이후 각지에서 활동한 예인들과 각지에서 간행된 작품들을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여 제시했다. 작품의 수량과 길이, 문장구성 등에 주목하고 분류하면서 작품의 성격과 특징 등도 사례별로 검토하고 있다.
머리말


제1부 고사계강창의 개념과 범주
제1장 고사계강창 연구 서론
1. 문제 제기
2. 연구 대상 및 논술 방법
제2장 고사계강창의 전통과 유형
1. 청대 이전의 전통
2. 탄사의 전개와 고사와의 관계 변화
3. 고사계강창의 유형
4. 소결


제2부 전기 고사계강창의 문학과 공연
제1장 서론
제2장 전기 고사계강창의 자료 및 목록
1. 중화민국 성립 이후의 전기 고사계강창 간행 상황
2. 미간행 필사본 및 목록
3. 전기 고사계강창 목록
제3장 전기 고사계강창의 작자와 작자층
1. 각 작품의 작자
2. 작자층의 성격
제4장 전기 고사계강창의 형식, 소재, 내용
1. 전기 고사계강창의 형식
2. 전기 고사계강창의 소재와 내용
제5장 전기 고사계강창의 서술 방식
1. 운·산문혼용체 작품의 결합 방식과 각 서술 단위의 역할
2. 운문전용체 작품의 서술 방식과 각 서술 단위의 지향
제6장 전기 고사계강창의 공연과 수용자층
1. 전기 고사계강창의 공연 형태와 장소
2. 전기 고사계강창의 수용자층
제7장 전기 고사계강창의 의의와 영향
1. 전기 고사계강창의 의의
2. 전기 고사계강창의 영향


제3부 후기 고사계강창의 공연과 문학
제1장 서론
제2장 농촌 고사계강창
1. 청 후기의 화북 농촌
2. 후기 고사계강창의 선행 연행 형태들
3. 농촌 고사계강창의 형성과 성장
4. 농촌 강창의 공연 모습과 작품 형식
5. 소결
제3장 도시 고사계강창
1. 청 말 도시 고사계강창의 성장
2. 도시 고사계강창의 예인들
3. 도시 고사계강창의 공연과 작품 형식
4. 소결
제4장 후기 고사계강창 도서의 간행과 문학적 성격
1. 출판의 대중화와 대중독자의 형성
2. 후기 고사계강창 도서목록과 간행 시기
3. 후기 고사계강창 도서의 판본과 수량
4. 후기 고사계강창 도서의 문학적 성격
5. 소결

결론: 중국 구비연행의 전통과 변화


참고문헌
중문개요
찾아보기

이정재李廷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졸업(문학박사)
중국 산동대학교 고급진수 과정 수학
대구한의대학교 중어중국학부 교수 역임
현재 서강대학교 중국문화학과 교수

저서
『중국공연예술』(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9)
역서
『근대 중국의 언어와 역사』(소명출판, 2005)
『도화선』(을유문화사, 2008)
『중국 고대 극장의 역사』(공역, 도서출판 솔, 2007)
『모란정』(공역, 소명출판, 2014)
논문
「고사계강창 연구」(1999)
「도화선의 이념적 지향」(2007)
「탕현조 「모란정」 공연의 변천을 통해 본 명청시기 문인연극 공연체제의 변화」(2012) 외 다수

 

  • 교보문고
  • yes24
  • 인터파크도서
  • 알라딘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