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도서

백제의 정치제도와 운영

백제의 정치제도와 운영

지은이: 노중국

분야: 역사·철학·종교

발행일: 2022-02-25

ISBN: 978-89-337-0799-9 93910

페이지수: 360쪽

판형: 152*224

가격: 35,000원

수상: 2022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백제사 연구의 권위자인 노중국 계명대학교 명예교수가 백제 정치사에서 분량 문제로 제대로 다루지 못한 정치제도를 별도로 정리한 책을 출간하였다. 제도를 만들고 그것을 운영하는 것은 정치사의 전개와 떼놓을 수 없으므로 이 책 백제의 정치제도와 운영앞서 출간한 백제 정치사와 짝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다각도로 살펴보는 백제의 정치제도

정치제도는 정치적 목적을 실현하거나 권력을 행사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러 조건과 처한 상황에 따라 그 운영 모습이 제정 목적과 달라지기도 한다. 따라서 정치제도 연구에서는 제도 자체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그 제도가 어떻게 운영되고 변화했는지를 조사하고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백제의 정치제도 연구는 중앙통치조직과 지방통치조직에 초점을 맞춘 것이 대다수였다. 중앙과 지방의 통치조직이 정치제도의 핵심이기도 하지만 상대적으로 자료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가 운영에는 여러 제도적 장치들이 필요하므로 다양한 제도들을 살펴보아야만 정치제도와 그 운영 모습을 제대로 그릴 수 있다. 다행히 근래에 벼슬을 구하기 위해 실력자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목간, 적진 앞에서 군사들의 사기를 격려하는 목간, 관료들의 근무 형태를 보여 주는 목간, 인구를 파악하여 정리한 목간 등이 출토되어 정치제도의 운영 모습을 개략적으로나마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

이 책에서는 중앙과 지방의 통치조직뿐만 아니라 군사제도, 의관제, 식읍제, 작호제를 비롯하여 국왕과 귀족들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합좌제와 그 변화도 다루고 있다. 또한 정치제도 운영을 직접 수행하는 관리의 양성과 선발은 물론 선발된 관리들에 의해 수행되는 문서행정과 문서행정에 필수적인 관인제官印制도 살펴보고 있으며, 정치제도를 법적으로 뒷받침해 주는 율령의 내용도 들여다보았다. 무엇보다도 정치제도 연구는 각 제도의 성격과 기능 변화를 운영 주체와 함께 통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므로 당시 정치 주체인 국왕과 실권귀족 사이의 길항拮抗관계를 통해 정치제도 운영 모습이 어떻게 변화되어 갔는지를 자세히 설명하였다.

 

두 번의 천도에 따른 정치제도 운영의 변화

한국 고대 사회에서 정치 주체는 국왕과 그를 둘러싼 귀족들이었다. 이들은 국가를 운영하고 사회의 질서와 안녕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정치제도를 만들었다. 정치제도는 국가 발전 단계에 따라 그 모습을 달리하며, 그 운영 모습은 정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한국 고대 사회에서 정치 상황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천도였다. 천도는 집권 세력의 다양한 이해관계가 조절된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백제의 경우 두 번의 천도, 즉 상황에 쫓겨 황급히 이루어진 천도와 계획하여 행한 천도라는 독특한 역사적 경험을 가졌기 때문에 정치제도와 그 운영도 천도에 따라 시기별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이 책은 정치제도의 변화를 한성기, 웅진기, 사비기로 나누어 정리하되, 이러한 변화 모습을 짜임새 있게 서술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기사본말식記事本末式으로 서술하였다.

책을 펴내며

 

머리글

1. 정치제도와 운영에 대한 기본 시각

2. 각 부의 요지

 

1부 초기백제의 지배조직

. 국 단계의 지배조직

. 국연맹 단계의 지배조직

. 부체제 단계의 지배조직

1. 부체제의 성립

2. 지배조직

 

2부 중앙통치조직과 운영

. 중앙집권체제의 확립

1. 부체제의 해체

2. 근초고왕의 즉위와 중앙집권체제 확립

. 관등제의 성립과 변화

1. 한성기: 14관등제

2. 웅진기: 덕계 관등의 추가 신설

3. 사비기: 16관등제

. 관부와 관직

1. 한성기의 관직

2. 웅진기에 신설된 관부와 관직

3. 사비기의 관부와 관직

. 왕도의 행정조직

1. 한성의 행정조직

2. 웅진성의 행정조직

3. 사비성의 행정조직

. 관등과 관직의 운영

1. 1관직-복수관등체계

2. 관등제 운영의 변화

3. 비상위의 설치

 

3부 지방통치조직과 운영

. 지방통치조직의 편제

1. 한성기: 담로제

2. 웅진기: 담로제와 군·성제의 병존

3. 사비기: --()

. 지방통치조직의 운영과 지방관

1. 방에 파견된 지방관: 방령과 방좌

2. 군에 파견된 지방관: 대군장, 군장, 군령과 군좌, 참사군

3. ()에 파견된 지방관: 도사와 성주

4. 지방통치조직의 치소

. 지방통치조직의 편제 단위와 지방 세력

1. 한성기: 읍락에서 성()으로 편제

2. 사비기: ()에서 자연촌으로 편제

3. 지방 세력의 출현과 편제

. 호구 파악과 호적제

1. 일본서기계체기 3년조의 관·부도·절관·부관

2. 호적제 실시

3. 목간이 보여 주는 호구 파악의 실제

 

4부 군사제도와 운영

. 국왕의 집권력 강화와 군사권의 일원화

1. 비류왕의 부병 해체와 군사권 강화

2. 군사조직 정비

3. 정복 활동의 전개

. 군사조직의 운영

1. 군사 지휘권과 지휘관

2. 군사 훈련과 작전, 포상

3. 군사 충원과 군수 조달

 

5부 작호제·의관제·식읍제와 그 운영

. 작호제와 그 운영

1. ·후호제

2. 장군호제

3. 작호제의 운영

. 의관제와 그 운영

1. 의관제의 실시

2. 한성기: 의관제의 정비

3. 웅진기: 의관제의 변화

4. 사비기: 의관제의 재정비

5. 의관제의 운영: 위신품과 작호제

. 식읍제와 그 운영

1. 식읍제의 실시

2. 식읍제의 내용

3. 식읍의 사여와 운영

 

6부 율령과 문서행정

. 율령의 시행

1. 율령의 반포

2. 율령의 내용 추정과 특징

3. 형벌의 집행과 절차

. 문서행정·관인제와 그 운영

1. 문서행정과 운영

2. 관인제와 운영

. 인재 양성과 관료 선발

1. 유학 교육과 인재 양성

2. 관료 선발 제도

3. 관리의 근무 기준과 처벌

 

7부 귀족합좌제와 운영

. 귀족 가문과 정치 운영

1. 성씨와 문지

2. 합좌제적 정치 운영의 시원

. 초기백제의 회의체

1. 연맹 단계: ·좌보회의체

2. 부체제 단계: 제솔회의

. 귀족회의체의 변화

1. 한성기의 귀족회의체

2. 웅진기의 귀족회의체: 3좌평회의체

3. 사비기의 귀족회의체

. 귀족회의체의 운영 325

1. 중요 의사 결정 방법 325

2. 회의 장소

 

맺는 글 대성8족과 역사적 의미

1. 대성8족의 성립

2. 고대 동아시아에서의 성씨제 정비와 대성8

 

찾아보기

노중국盧重國

경북 울진에서 태어나 계명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문학석사,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9년 계명대학교 사학과에 부임하여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정교수를 거쳐 인문대학장을 역임하고, 20148월 정년 퇴임하였다. 현재 계명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이다. 한국고대사학회 1~4대 회장, 백제학회 회장, 대구사학회 회장, 문화재위원회 사적분과위원장, 한성백제박물관건립추진단 전시기획실무위원회 위원장, 백제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등재추진위원회 위원장, 백제문화사대계(25) 편집위원장,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30) 편집위원장, 경상북도 목판사업자문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현재 문화재청 역사문화권정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백제부흥운동사(2003), 백제사회사상사(2010), 백제의 대외 교섭과 교류(2012), 백제정치사(2018), 역사의 맞수: 백제 성왕과 신라 진흥왕(2020), 한국고대의 수전 농업과 수리시설(공저, 2010), (개정증보) 역주 삼국사기 1~5(공역주, 2012), 금석문으로 백제를 읽다(공저, 2014), 한류 열풍의 진앙지 일본 가와치(공저, 2016) 등이 있다.

 

백제정치사

노중국

백제부흥운동사

노중국

백제사연구

이기동 지음

  • 교보문고
  • yes24
  • 알라딘
  • 영풍문고
▲ TOP